NEO CLINIC SEOUL
SENOSTA STEM CELL
불사화 줄기세포는 나고야 대학 의학부 재생의료 연구소에서 태어난 “반영구적으로 열화되지 않는 줄기세포” 입니다. 우수한 엘리트 줄기세포만을 선별해서 불사화 기술을 도입하여 만들어진 줄기세포 입니다. 통상적으로 줄기세포는 배양(분열)하는 과정에서 줄기세포의 성능과 효과가 줄어들면서 2주~1개월정도 뒤에 사멸합니다. “불사화 줄기세포”는 배양(분열)을 반복하여도 줄기세포의 성능과 효과각 저하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수명이 유지 됩니다.
불사화 줄기세포는 나고야 대학 의학부 재생의료 연구소에서 태어난 “반영구적으로 열화되지 않는 줄기세포” 입니다. 우수한 엘리슽 줄기세포만을 선별해서 불사화 기술을 도입하여 만들어진 줄기세포 입니다. 통상적으로 줄기세포는 배양(분열)하는 과정에서 줄기세포의 성능과 효과가 줄어들면서 2주~1개월정도 뒤에 사멸합니다. “불사화 줄기세포”는 배양(분열)을 반복하여도 줄기세포의 성능과 효과가 저하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수명이 유지 됩니다.
“줄기세포 배양 상청액”으로는 불사화 치수추출·치수추출·지방추출·제대혈추출의 줄기세포가 있습니다.
각각의 줄기세포를 비교해보면 치수로 부터 추출한 줄기세포에서 많은 재생인자를 만들어 냅니다.
“불사화 치수 줄기세포의 배양상청액”에는 압도적인 줄기세포의 양과 우수한 질의 줄기세포가 있습니다.
유치의 치수를 사용하여, 법적 절차를 밟은 정식적인 경로로 유치를 제공받고 있어 안정성에 있어 안심할 수 있습니다.
불사화 치수 추출 줄기세포 | 치수 추출 줄기세포 | 지방 추출 줄기세포 | 제대혈 추출 줄기세포 | |
---|---|---|---|---|
추출대상 | 소아 |
소아·성인 | 성인 | |
안정성 | 기증자 · 바이러스 |
기증자 · 바이러스 검사 완료 |
기증자 검사 없음 (의료폐기물 포함) |
기증자 검사 없음 (의료폐기물 포함) |
단위별 성분의 안정성 |
동일 |
단위 마다 성분의 차이 발생 | 단위 마다 성분의 차이 발생 | 단위 마다 성분의 차이 발생 |
등급 | 의료 사용가능 |
의료 사용가능 화장품 사용 가능 |
미용 사용가능 화장품 사용 가능 |
미용 사용가능 화장품 사용 가능 |
생리활성 물질의 양 |
매우많음 |
많음 | 적음 | 보통 |
불사화 제대혈 추출 줄기세포 | 제대혈 추출 줄기세포 | |
---|---|---|
추출대상 | 유아 | |
안정성 | 기증자 · 바이러스 |
기증자 검사 없음 (의료폐기물 포함) |
단위별 성분의 안정성 |
동일 |
단위 마다 성분의 차이 발생 |
등급 | 의료 사용가능 |
미용 사용가능 화장품 사용 가능 |
생리활성 물질의 양 |
매우많음 |
보통 |
“불사화 줄기세포”의 압도적인 우수성
유치의 치수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는 다른 부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보다 생리활성화 물질(성장인자 등)의 양과 농도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줄기세포는 연령이 높아지면서 줄기세포의 양과 질이 급격하게 감소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아의 치수로부터 고품질의 줄기세포를 추출하여 “불사화” 시켜 순도가 높은 “불사화 줄기세포 배양 상청액”을 만듭니다.
배양 상청액 이란?
배양한 줄기세포의 배양액에서 원심 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줄기세포의 고순도 배양액을 말합니다.
성장인자 부터 “재생인자”까지 EGF와 FGF라는 성장인자 뿐만 아니라 엑소좀, 전부 줄기세포에서 분비되는 생리활성화 물질입니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성장인자의 성분, 또는 몇 개의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해 왔지만, 앞으로는 “불사화 줄기세포”로 인해 완전체로써의 생리활성화 물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엘리트 줄기세포만을 사용한 “불사화 줄기세포” ’반영구적으로 열화(노화)하지 않는 줄기세포’를 만드는 “불사화 줄기세포”는 우수한 줄기세포(엘리트 줄기세포)만을 선별하여 “불사화” 기술을 이용해서 배양합니다.
Cysay인자에 포함되어 있는 사이토카이(작용별)
항Apoptpsis | 신경보호 | 혈관신생 | 신경돌기 신장 촉진 | 항염증 | 대식세포(매크로 피지) 성상제어 |
---|---|---|---|---|---|
ANG | ANG | ANG | Decroin | GDF-15 | ED-siglec-9 |
BDBF | BDBF | EG-VEGF | MMP-2 | IGF-1 | IGF-1 |
EG-VEGF | EG-VEGF | GDF-15 | MMP-3 | IL-1Ra | IL-1Ra |
GDF-15 | GDF-15 | Groeth Hormone | NrCAM | IL-4 | IL-4 |
GDNF | GDNF | HGF | Osteopontin | IL-6 | IL-6 |
Groeth Hormone | Groeth Hormone | Insulin | SCF | IL-10 | IL-10 |
HGF | HGF | NCAM-1 | TACE | IL-22 | MCP-1 |
IGFBP-1 | Insulin | NID-1 | TIMP-2 | IL-28A | Siglec-9 |
Insulin | MMP-9 | NRG-1 | 면역제어 | IL-29 | 미세아교세포(Microglia) 성상제어 |
MMP-9 | NCAM-1 | Osteopontin | Furin | MCP-1 | GDNF |
NCAM-1 | NID-1 | PIGF | HGF | Siglec-9 | HGF |
NID-1 | NRG-1 | SCF | IL-22 | TGF-β | IL-6 |
NRG-1 | Osteopontin | TIMP-1 | 간세포보호 | 폐상피 재상촉진 | MCP-1 |
Osteopontin | PIGF | VEGF-A | HGF | KGF | |
PIGF | TIMP-1 | 항섬유화 | SCF | ||
TIMP-1 | VEGF-A | DKK-1 | TIMP-1 | ||
VEGF-A | VEGF-C | Follistain | 항 파골세포 형성 | ||
VEGF-A | HGF | OPG |